-
수정일
2023-02-22 07:16
-
조회수
18,438
일반대중(광고)보다는 개개인의 니즈(연결)을 중시하는 진정한 플랫폼의 가치는 정보의 양이 아니라 다양성과 적시성, 정확성에 있다
기존(기득권 중심의 제도ㆍ시스템)의 각종 포털(통제ㆍ가두리)기능을 하는 유무선 인터넷기반의 WEB과 APP은 정보수집ㆍ배포ㆍ검색ㆍ추천의 틀(알고리즘)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실정으로
실시간 정보등록ㆍ공유ㆍ소통이 대세인
스마트폰 공유플랫폼시대(일반대중보다는 개개인의 니즈가 중요한 시대)에 부응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실시간 객관적인 팩트(FACT)를 기반으로
열결하고 기여하고 공헌하고 나누는
플랫폼의 진정한 가치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정보수집ㆍ배포ㆍ검색ㆍ추천의 틀(말고리즘)에서 벗어나
실시간 자기주도로 자율ㆍ창의ㆍ책임하에
관련정보와 콘텐츠를 개별ㆍ연동[마이데이터]플랫폼인 [코드 및 키워드]기반으로 등록ㆍ공유ㆍ소통하는 [O2O]플랫폼(코드맵)이 필요한 이유이다.
각종 업체나 금융기관, 공공기관 및 자치단체 등에서 최근 출시하고 있는 정보수집ㆍ중개형 각종 WEB과 APP의 진정한 목표와 가치가 무엇인지를 돌아볼 시기이다.
뉴욕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유튜브 시청시간 70%가 추천 알고리즘에 의한 결과며, 알고리즘 도입으로 총 비디오 시청시간이 20배 이상 증가했다”고 밝혔다. 넷플릭스도 “매출의 75%가 추천 시스템에 의해 발생한다”고 밝혔다.
알지 못하는 사이에 추천 알고리즘에 포박당했다는 얘기로 편협된 정보로 눈귀가리고 편견과 선입견만 키워 자신들이 목적한 바만 이루었다는 말이다.
다시 말하면 정보수집ㆍ배포ㆍ검색기반의 추천알고리즘에 농락당하고 있는 것이 오늘의 현실이다.
당장의 목전의 이익을 바라보는 정보를 수집ㆍ배포하는 데이터 관리능력(알고리즘)보다는 혁신적인 미래를 선도하는 실시간 정보를 등록ㆍ생산ㆍ유통 및 공유ㆍ소통하는 데이터 관리능력(플랫폼)이 있는 자(매치메이커/마이데이터 생산ㆍ유통ㆍ관리능력을 지원ㆍ촉진시켜주는 플랫폼사업자)가 최종 승자가 될 것임을 놓쳐서는 않된다.
“정답의 세계(일반대중의 니즈중시, 알고리즘, 이익추구의 세계 )에 살다가 정답 없는 예술의 세계(개개인의 니즈중시, 자기주도, 가치추구의 세계)로 오면서 서로 연결ㆍ기여ㆍ공헌ㆍ 나누는 진정한 플랫폼세계에 완전히 매혹되었다.
MBK,
김병주,
알고리즘,
플랫폼창업,
플랫폼가치,
네이버,
모바일광고플랫폼,
전통시장ICT카페,
제로페이,
애플,
구글,
수수료결정,
BTS공모,
BTS상장,
빅히트엔터테인먼트,
SNS엔터테인먼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