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검색버튼

릴레이 이벤트 등록

실시간 제휴매체 헤드라인뉴스 등록

전화

지역콜센터 번호등록

공유 / 바로가기

남한산성

  • 수정일 2018-07-10 20:24
  • 조회수 2,080
1963년 1월 21일 사적 제57호로 지정되었다. 북한산성(北漢山城)과 더불어 서울을 남북으로 지키는 산성 중의 하나로, 신라 문무왕(文武王) 때 쌓은 주장성(晝長城)의 옛터를 활용하여 1624년(인조 2)에 축성(築城)하였다.
《남한지(南漢志)》에 따르면, 원래 심기원(沈器遠)이 축성을 맡았으나 그의 부친상으로 인하여 이서(李曙)가 총융사(摠戎使)가 되어 공사를 시작하여, 1626년 7월에 끝마쳤다. 공사의 부역(賦役)은 주로 승려가 맡아 하였다. 성가퀴는 1,700첩(堞)이고, 4문(門)과 8암문(暗門)이 있으며 성안에는 관아(官衙)와 창고 등, 국가의 유사시에 대비하여 모든 시설을 갖추었고, 7개의 절까지 세웠다. 다만 성의 둘레가 6,297보(步), 성가퀴는 1,897보라고 하는 등 문헌에 따라 차이가 있다. 이러한 시설은 기본적인 것에 불과하였고, 인조 때부터 순조 때에 이르기까지 성내의 시설 확장은 계속되었다. 임금이 거처할 행궁(行宮)은 상궐(上闕) 73간(間) 반, 하궐(下闕) 154간이었다. 재덕당(在德堂)은 1688년(숙종 l4)에 세웠고, 1711년에는 종묘를 모실 좌전(左殿)을 세웠다. 그리고 사직단(社稷壇)을 옮길 우실(右室)도 세웠다. 1624년에 건립된 객관(客館:人和館)은 1829년(순조 29)에 수리되었다.

관아로는 좌승당(坐勝堂)일장각(日長閣)수어청(守禦廳)제승헌(制勝軒) 등이, 군사기관으로는 비장청(裨將廳)교련관청(敎練官廳)기패관청(旗牌官廳) 등을 비롯한 20여 시설과 더불어 종각(鐘閣)마랑(馬廊)뇌옥(牢獄), 백제의 시조인 온조왕묘(溫祚王廟), 서낭당여단(厲壇) 등이 들어서고, 승도청(僧徒廳)을 두어 승군(僧軍)을 총괄하였다.


주차요금(1일) 1,000원


- 제2롯데타워가보이는 야경
- 환상적인 날씨와 경이로운 야경
- 서울근교 드라이브가기좋은곳
- 서울 근교 걷기 좋은 산책길
- 경기도에서 가까운 계곡

  • 전화
  • 모두보기
주소

경기 광주시 남한산성면 산성리

릴레이 이벤트